2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삼국시대 초기 역사 문제들을 한방에 해결하는 법(?)

이미지
  권순홍(2015), "조선 전기의 고구려 초기 도성 위치 비정과 그 실상", '사림'   53 , 183-201. <전략> 가) 성주(평안남도 성천군)는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고려사 지리지) 나) 성천도호부는 (중략)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세종실록 지리지 안주목) 다) 성천도호부는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고구려 시조 동명왕이 북부여로부터 와서 졸본천에 도읍할 때, 송양이 그 나라를 바치고 투항하여 마침내 다물도를 두고 송양을 다물후로 봉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평안도) ... 이를 통해서 조선 전기에는 성천을 송양의 옛 도읍, 나아가서는 고구려 최초의 도읍인 졸본으로 인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졸본을 성천으로 비정한 것이 조선 전기에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삼국유사』에서 일연은 혹자들이 졸본을 화주和州(함경남도 금야金野) 혹은 성주에 비정하는 것에 대해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 13세기 이전에 졸본을 성천으로 비정하는 경향이 일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부식이 졸본의 위치를 모른다고 고백하고 일연이 성천은 아니라고 부정했던 것은 성천설의 불합리성을 방증한 셈이지만, 위와 같이 조선 전기에 성천이 다시금 주목된 점을 감안하면 또 아주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닐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성천에 오늘날까지도 고구려 건도지建都地인 졸본과 관련된 여러 지명들이 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비류강과 흘골산성紇骨山城이란 지명이다... 주지하듯이 비류강은 고구려의 건국설화에 등장하는 비류수와 이름이 같고, 흘골산성은 『위서』에서 주몽의 건도지로 전하는 흘승골성紇升骨城과 통한다... <중략> 국내성의 위치를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1486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이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의주의 고적부분에서 『삼국사기』에 나타난 유리왕 22년 천도기사를 옮기면서 국내성을 의주로 비정하였...

중국어 역사 음운학 (12)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2)

이미지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17장 상고 중국어의 유음과 유음을 동반한 자음의 서열, 20장 비음鼻音의 상고 기원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2) 4. 우리나라의 ㄹ이나 영어의 l, r은 유음(liquid consonant)으로 분류되는 음입니다. 공기의 흐름이 입과 혀에 별로 막히지 않고 흘러 나가는 음이지요. 현재 중국어는 r(rhotic)과 l(lateral)이 구별되고 있습니다만 중국어 r은 중고한어 일모日母에서 기원한 것으로 그 시기에는 n-의 구개음 ȵ-로 실현된 것으로 추정되어 그 시기에는 한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하나의 유음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고한어 l-의 래모來母 한자는 상고한어에서 lateral l-이 아니라 rhotic r-로 생각됩니다. 한편 중고한어 j- 음을 가지는 이모以母가 상고한어에서 l-음을 가졌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외국어를 음차할 때에 래모 한자가 l이 아니라 r을 대역하고 이모 한자가 l을 대역한다. (예: alexandria - 烏弋山離) 나. 상고한어에서 기원한 어휘가 다른 언어(Hmong-Mien어, 베트남어, Tai-Kadai어 등)에 차용될 때 마찬가지로 래모 한자는 r-로, 이모 한자는 l-로 전사된다. 다. 이모 한자는 정모定母(d-), 투모透母(tʰ-) 한자와 다수 해성한다. 이 한자들은 와향瓦鄕어에서 l-음을 가진다. 반면 래모 한자는 와향어에서 z-음을 가진다. 라. 티베트-버마 어족의 친족어에서 이모 한자에 대응하는 어휘는 l-음을 가지고 래모 한자에 대응하는 어휘는 r-음을 가진다. 5. 중고한어의 m-, n-, ŋ-에 해당하는 명모明母, 니모泥母, 의모疑母는 조음 방법이 이질적인 효모曉母(h-), 서모書母(ɕ-)/효모(h-)등과 해성하거나(m-, ŋ-의 경우), 유기파열음 방모滂母(pʰ-), 투모透母(tʰ-)/철모徹母(ʈʰ-)와 해성합니다.(m...

중국어 역사 음운학 (11)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1)

이미지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21장 후음喉音의 상고 기원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1) 앞서 상고한어의 모음과 종성을 어떤 논리를 통해 재구성하고 있는지 엉성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여러 학자들은 중고한어 시기의 다양한 모음이 상고한어 시기에는 존재하였다고 볼 수 없으며, 다수가 상고한어 시기의 초성의 변화로 유도된 것임을 논증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중고한어 시기에는 매우 다양한 초성 자음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당시 운서와 운도를 만든 학자들이 증언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고한어 시기의 초성 자음은 현재의 중국어뿐만 아니라 중고한어의 형태와도 매우 차이가 있었을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고한어의 초성 성모聲母을 재구성하는 것은 좀 더 어렵습니다. 운모韻母인 모음과 종성의 재구성에는 당대의 압운 자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초성의 재구성은 오로지 가차와 해성(형성자), 상고한어 시기에 분화한 것으로 생각되는 민閔방언 자료를 내적증거로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이 내적증거들이 자기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서로 통가가 이루어지는 가차 관계는 두 한자가 거의 유사한 음을 가지고 있다는 매우 직접적인 증거가 됩니다만 상고한어가 조금씩 변함에 따라 가차관계도 바뀌기 때문에 문헌의 시기 추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해성(형성자) 관계 역시 강력한 음성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만 한자의 형태가 갖추어지는 전국시대의 자료보다는 갑골문이나 선진시대의 문자자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갑골문이나 선진시대 문자들의 발굴과, 발굴된 문자들이 후대의 어떤 한자에 연결되는지의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민방언 자료 역시 민방언 제어들의 연구로 원原 민방언의 형태가 어떠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 외적증거로는 동계 어족인 티베트-버마어와 상고한어를 차용한 것으로 생각되는 Hmong-Mien어, T...

중국어 역사 음운학 (10) - 상고한어의 모음 재구성

이미지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12장 어운魚韻과 어부魚部, 16장 상고 중국어의 모음 체계, 18장 2등과 3등 중뉴의 상고 기원  어운은 중국어에서 yú, 한국어에서는 어(ʌ), 일본어에서는 ぎょ(gyo), 베트남어에서는 ngư로 후설모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상고한어에서 魚는 a(ㅏ) 음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외국어 대역 자료에서 a음을 어부魚部 글자를 사용해서 음차하였다. -  烏 弋山離 ~  A lexandria, 扜 泥  ~ Ku hani /Kh vani ,  且 末 ~  Cal madana,  都 密 ~  Tar mita(Termez),  都 賴水 ~  Ta las -  大 鹵 ~ dala>ТАЛ (몽골어 초원) 2. 어운과 탁운鐸韻이 상고한어에서 자유로운 압운, 해성, 가차 관계를 보인다. - 車(*t.qʰa>tsyʰæ) ~ 車(*C.qa>kjo) ~ 輿(*m-q(r)a>yo) - 墓(*C.mˁak-s>muH) ~ 莫(*mˁak>mak), 夜(*N.rak-s>yæH) ~ 夕(*s-N-rak>zjek) 이것은 상고한어에서 중고한어로 진행되는 동안 모음에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일찌기 보여드린 바와 같이 중고한어는 매우 많은 운韻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성을 별도로 떼어내어도 모음의 갯수가 다른 보통의 언어에 비해 매우 많아 원래부터 중국어가 그렇게 복잡한 언어였다고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중고한어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모음은 상고한어의 모음이 급격한 변화를 받은 결과물일 것입니다. 상고한어의 모음과 관련해서 4개의 논의가 존재합니다. 1. front vowel hyphothesis. 2. r-hyphothes...

중국어 역사 음운학 (9) - 상고한어의 종성(운미)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11장 상고 중국어의 운미韻尾 아시다시피 우리나라 말에서 종성coda에 올 수 있는 음성은 ㄱ(-k), ㄴ(-n), ㄷ(-t), ㄹ(-l), ㅁ(-m), ㅂ(-p), ㅇ(-ŋ)이며 훈민정음 시대에도 8 종성법으로 ㅅ(-s)까지만 종성에 올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는 뒤에 모음이 오지 않는한 위의 7 종성을 제외한 음은 모조리 7 종성으로 중화되지요. 종성 자리에 제약이 있는 한국어와 달리 영어의 경우 매우 다양한 종성coda이 가능하다는 것을 여러분도 익히 아실 것입니다. 실제로 영어는 -h, -w, -j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종성에 올 수 있으며, 나아가 자음군consonant cluster도 가능합니다. 현재의 중국어는 한국어보다 종성의 폭이 더 좁아서 -n, -ŋ, -r(ɻ)만이 가능하며 그 외에는 모두 개음절open syllable입니다. 그러나 한국 한자음을 생각한다면 과거의 중국어는 지금보다는 더 많은 종성이 존재했으리라는 것을 추측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중고한어에서는 -j, -w, -m, -n, -ŋ, -p, -t, -k, -wŋ, -wk 종성이 존재했다고 생각됩니다. 이를 청대靑代에는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를  음성운陰聲韻 , 비음으로 끝나는 경우를  양성운陽聲韻 , 폐쇄음stop consonant로 끝나는 경우를 입성운入聲韻이라 나눈바 있습니다. 그러면 상고한어의 종성 목록은 중고한어와 어떻게 연결될까요. 들어가기에 앞서서 두 가지를 먼저 말씀드려야 하겠네요. 첫째로 중국어의 거성去聲과 상성上聲은 각각 상고한어 어미 -s와 -ʔ에서 기원한다고 말씀드린바 있습니다. 이 어미는 종성에 후행하는 post-coda로 별도로 분류하기로 하고 coda만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post-coda를 포함한다면 영어와 마찬가지로 상고한어는 -s와 -ʔ을 포함한 종성과 -s, -ʔ가 조합된 자음군이 ...

중국어 역사 음운학 (8) - 중국어 성조의 기원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10장 성조의 상고 기원 우리가 중국어의 특징을 떠올린다면 아마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될 것이 중국어의 성조가 아닐까 합니다. 성조의 차이에 대해서는 운서韻書를 만든 위진남북조의 학자들도 성조에 따라 한자를 분류하였으며, 당송唐宋 시기에 중국에 유학 왔던 일본 승려들도 특별히 기술할 정도로 오래된 특징입니다. 그러나 이 특징도 상고한어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학자들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고한어에 성조가 없었다는 생각은 청대 학자인 단옥재段玉裁가 일찍이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는 시경 압운에서 거성 한자가 다른 성조의 한자와 자유롭게 압운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고무거성古無去聲-고어에는 거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주장하였습니다. 이후 근대적인 음운학이 발달하면서 이독異讀 현상에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거성이 상고한어에서 중고한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된 현상임이 확인됩니다. 1. 상태동사와 타동사 관계 (X: 중고한어의 상성, H: 거성) a. 好(*qʰˁuʔ/*qʰˁuʔ-s): xawX - 좋다, xawH - ~를 좋아하다 b. 惡(*ʔˁak/*ʔˁak-s): ʔak - 나쁘다, ʔuH - ~를 싫어하다 2. 동사와 명사 관계 a. 入(*nəp): nyip - 안으로 들어가다, 內(*nˁəp-s): nwojH - 안 b. 列(*ret): ljet - 줄짓다, 例: ljejH - 규칙, 사례 c. 責(*s-tˁrek): tsrɛk - 독촉하다, 債(*s-tˁrek-s): tsrɛH - 빚 3. 내향endoactive 동사와 외향exoactive 동사 관계 a. 聞(*mun): mjun - 듣다, 問(*C.mun-s): mjunH - 묻다 b. 受(*duʔ): dzyuwX - 받다, 授(*duʔ-s): dzyuwH - 주다 c. 買(*mˁrajʔ): mɛX - 사다, 賣(*mˁrajʔ-s): mɛH -...

중국어 역사 음운학 (7) - 상고한어의 모음대립

이미지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9장 3등 개음medial의 상고 기원 중고한어의 중뉴라는 현상을 가지고 있는 운도 3등 글자는 중고한어의 재구도 어렵게 만들었지만 상고한어의 재구에도 어려움을 가중시킵니다. 중고한어에서 재구한 -j-음이 상고한어에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에 대한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a. 疑母(ŋ)인 業을 사용하여 Yavana를 번역하였다.(業波羅). j음이 생겨났다면 疑母로 Ya를 대역할 이유가 없다. b. 3등 글자가 대역한 외국어에도 i나 j가 없다. (ex, Argi -  焉 耆, aṅkwaṣ -  央匱 , upāsaka -  優 波塞, Khema -  扜彌 , khvani -  扜 泥, Tahoroi - 大 宛 , Khotan -  于 闐 : 표시한 글자가 모두 3등위 글자) c.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에서는 남방음을 별도로 기록하였는데 북방에서는 3등음으로 읽지만 남방에서는 1·2·4등음으로 읽는 경우가 있다. 이는 3등음이 북방에서 기원하여 점차 남방으로 퍼져 나갔음을 뜻한다. d. 吳방언과 閩방언에서 문어文語와 구어口語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외부의 영향을 받은 문어에서는 3등 개음 i가 존재하나 구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e. 일본의 한자음은 음의 도입 시기가 서로 다른 오음吳音, 한음漢音(and 당음唐音)으로 나뉘어지는데 3등 개음의 경우 가) 오음과 한음 모두 존재, 나) 오음과 한음 모두 존재하지 않음, 다) 오음에는 없고 한음에만 존재함 그렇다면 무엇이 3등 개음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었을까요. Zhengzhang Shangfang(정장상방, 鄭張尙芳)은 상고한어의 모음에 장단長短의 대립이 있었으며 이 중 단모음에서 개음이 발생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a. 한장어족의 여러 언어에서 모음에 장단의 대립이 있다. ...

중국어 역사 음운학 (6) - 형성자의 원칙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한자를 공부하신 분들은 형성자들이 대개는 음이 같지만 형성자라 하더라도 그 음이 조금씩 다른 것들도 있다는 걸 아실 겁니다. 그 중 일부는 한국에 한자음이 들어오면서 변화하여 그런 것도 있지만 중고한어 시기부터 이미 별개의 음을 가지고 있었던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음이 아닌데 어째서 굳이 음이 다른 글자를 가져와서 형성자를 만들었는지가 상고한어 연구의 시작점입니다. 8장 해성諧聲(형성形聲)의 원칙 한자는 육서(六書)라 해서 한자가 만들어지게 된 경위가 서로 다른 6가지의 한자 생성 방식이 있습니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가 그것입니다. 이 중 형성과 가차는 원 글자의 음을 빌어 생성된 것이므로 글자가 만들어질 당시의 음을 유추할 수 있게 합니다. 별개의 두 한자가 서로 가차가 가능하여 해성과 이독異讀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리켜 통전通轉이라 하며 상고한어 재구의 기초가 됩니다. 이런 통전 현상은 현대적인 음운학이 발생하기 이전인 청대 중국 학자들에 의해서 이미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성모initial가 유사한 쌍성雙聲과 운부final가 유사한 첩운疊韻 관계에 있는 두 한자는 해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논의를 도출해 낸 바 있습니다. 그러나 통전 가능 범위를 넓게 잡았기 때문에 A와 B가 통하고 B와 C가 통하고, C가 D가 통하면 통전 되었다고 볼 수 없는 A와 D도 서로 통전 관계가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후대의 학자들은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해서 해성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고 규정하고자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Li Fang-Kuei(이방계, 李方桂)는 a. 상고의 조음부위가 동일한 폐쇄음stop(예를 들어 d-t, b-p, g-k의 관계)은 서로 해성할 수 있다. b. 상고의 설첨 파찰음(ts 나 dz)이나 마찰음(s나 z)은 서로 해성할 수 있...

중국어 역사 음운학 (5) - 상고 중국어의 음절

이미지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이 책의 5장, 6장은 각각 중고한어의 운모와 성조 재구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으나 운모는 섭攝 이야기를 말씀드린 3장에서 운모 재구 표를 보여드린 바 있고, 성모와 같은 방식으로 재구 논리를 설명하고 있어 패스합니다. 덧붙여 상고한어는 성조가 없으므로 중고한어 성조 재구는 굳이 다룰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와 별 관련이 없는 중고한어, 상고한어를 살펴보는 이유는 훈민정음의 창제 이전에 우리나라 말은 한자를 빌어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한국어 어휘를 추론하기 이전에 당시 한자음을 복원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자의 음을 빌어 당시 우리나라 말을 기록한 금석문이나 향찰, 이두, 구결 자료는 모두 삼국시대 후기부터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체적으로 중고한어 시기에 해당하는데, 우리나라 한자음이 중고한어의 음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대 한국어 자료를 이해할 때에 한국 한자음을 토대로 이해해도 대강의 것은 틀리지 않습니다.(물론 고대 한국어의 양상은 현재와 매우 다르긴 해도 말이지요.) 그러나 그 이전 시기에 해당하는 사기, 한서, 삼국지 등에 채록된 우리나라 인명이나 지명, 국명 자료는 상고한어 시기이므로 상고한어를 토대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상고한어는 중고한어와 여러 면에서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우리나라 한자음을 토대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상고한어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왜 그렇게 재구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며 아무쪼록 상고한어 시기의 우리나라 어휘를 생각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 주셨으면 합니다. 7장 상고上古 중국어의 음절 유형 <음절의 구성 방식> 동아시아의 언어 체계에서 음절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티베트 문자, 버마 문자, 태국 문자, 장족壯族의 고장자古壯字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