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초기 역사 문제들을 한방에 해결하는 법(?)
권순홍(2015), "조선 전기의 고구려 초기 도성 위치 비정과 그 실상", '사림' 53 , 183-201. <전략> 가) 성주(평안남도 성천군)는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고려사 지리지) 나) 성천도호부는 (중략)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세종실록 지리지 안주목) 다) 성천도호부는 본래 비류왕 송양의 옛 도읍이다. 고구려 시조 동명왕이 북부여로부터 와서 졸본천에 도읍할 때, 송양이 그 나라를 바치고 투항하여 마침내 다물도를 두고 송양을 다물후로 봉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평안도) ... 이를 통해서 조선 전기에는 성천을 송양의 옛 도읍, 나아가서는 고구려 최초의 도읍인 졸본으로 인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졸본을 성천으로 비정한 것이 조선 전기에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삼국유사』에서 일연은 혹자들이 졸본을 화주和州(함경남도 금야金野) 혹은 성주에 비정하는 것에 대해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 13세기 이전에 졸본을 성천으로 비정하는 경향이 일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부식이 졸본의 위치를 모른다고 고백하고 일연이 성천은 아니라고 부정했던 것은 성천설의 불합리성을 방증한 셈이지만, 위와 같이 조선 전기에 성천이 다시금 주목된 점을 감안하면 또 아주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닐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성천에 오늘날까지도 고구려 건도지建都地인 졸본과 관련된 여러 지명들이 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비류강과 흘골산성紇骨山城이란 지명이다... 주지하듯이 비류강은 고구려의 건국설화에 등장하는 비류수와 이름이 같고, 흘골산성은 『위서』에서 주몽의 건도지로 전하는 흘승골성紇升骨城과 통한다... <중략> 국내성의 위치를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1486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이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의주의 고적부분에서 『삼국사기』에 나타난 유리왕 22년 천도기사를 옮기면서 국내성을 의주로 비정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