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역사 음운학 (12)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2)
※ 이 글은 반오운潘悟雲 저著, 권혁준 역譯의 "중국어 역사 음운학" 내용의 요약/정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덧붙여 적는 것입니다.
17장 상고 중국어의 유음과 유음을 동반한 자음의 서열, 20장 비음鼻音의 상고 기원 - 상고한어의 초성 자음 재구성(2)
4. 우리나라의 ㄹ이나 영어의 l, r은 유음(liquid consonant)으로 분류되는 음입니다. 공기의 흐름이 입과 혀에 별로 막히지 않고 흘러 나가는 음이지요. 현재 중국어는 r(rhotic)과 l(lateral)이 구별되고 있습니다만 중국어 r은 중고한어 일모日母에서 기원한 것으로 그 시기에는 n-의 구개음 ȵ-로 실현된 것으로 추정되어 그 시기에는 한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하나의 유음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고한어 l-의 래모來母 한자는 상고한어에서 lateral l-이 아니라 rhotic r-로 생각됩니다. 한편 중고한어 j- 음을 가지는 이모以母가 상고한어에서 l-음을 가졌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외국어를 음차할 때에 래모 한자가 l이 아니라 r을 대역하고 이모 한자가 l을 대역한다. (예: alexandria - 烏弋山離)나. 상고한어에서 기원한 어휘가 다른 언어(Hmong-Mien어, 베트남어, Tai-Kadai어 등)에 차용될 때 마찬가지로 래모 한자는 r-로, 이모 한자는 l-로 전사된다.다. 이모 한자는 정모定母(d-), 투모透母(tʰ-) 한자와 다수 해성한다. 이 한자들은 와향瓦鄕어에서 l-음을 가진다. 반면 래모 한자는 와향어에서 z-음을 가진다.라. 티베트-버마 어족의 친족어에서 이모 한자에 대응하는 어휘는 l-음을 가지고 래모 한자에 대응하는 어휘는 r-음을 가진다.
5. 중고한어의 m-, n-, ŋ-에 해당하는 명모明母, 니모泥母, 의모疑母는 조음 방법이 이질적인 효모曉母(h-), 서모書母(ɕ-)/효모(h-)등과 해성하거나(m-, ŋ-의 경우), 유기파열음 방모滂母(pʰ-), 투모透母(tʰ-)/철모徹母(ʈʰ-)와 해성합니다.(m-, n-의 경우) 이 어휘들 중 티베트-버마어 친족어 자료와 상고한어 차용어 자료 등을 통해 원 어휘가 m-, n-, ŋ-음을 가지는 것이 확실한 한자들은 m-, n-, ŋ-과 발음 방법이 유사한 음에서 이질적인 음으로 변해갔다고 보아야 합니다. 이에 언어학자들은 상고한어에서 유성 비음에 대응하는 무성 비음 m̥-, n̥-, ŋ̊-이 존재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버마어군에서 다양한 무성 비음이 존재하는 것과 연결됩니다.
6. 위에서 상고한어는 유음 r-과 l-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씀드렀습니다. 이 유성 유음에 대비되는 무성 유음 r̥-, l̥- 역시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고한어 이모以母 l-음이 접근음 j-로 변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이와 해성하는 한자 중에서 조음방법이 이질적인 서모書母(ɕ-)/투모透母(tʰ-)와도 해성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래모來母 r-음이 자리가 빈 l-음으로 변하는 것은 자연스러우나 철모徹母(ʈʰ-)와 해성하는 것은 r-과 발음 방법이 유사한 다른 음을 예상하게 합니다. 그 결과 상고한어는 유음만 4개나 가지는 매우 특이한 언어로 재구성되고 있습니다.
요약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