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7) : 구야국의 초기 발전 양상
일단 임의로 구야국의 건국을 김해에서 목관묘가 목곽묘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잡고 김해의 물질 문화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간략히 짚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목곽묘 전환기에 김해의 묘제 형식은 상당히 많은 변화가 일어났지만 부장되는 토기 형태는 과거 목관묘 단계의 고식와질토기를 계승한 신식와질토기가 생겨나게 됩니다. 묘제 형식 변화 폭이 더 작은 다른 영남지방에서도 신식와질토기가 생산되기 시작하며 약간의 지역적인 차이를 제외하고서는 비슷한 형태의 신식와질토기가 각지에서 생산됩니다. 하지만 고식와질토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보다 신식와질토기의 변화 속도가 빠르고 그 형태 변화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외부와의 교역 폭이 넓어지고 그 수용하는 속도도 빨라졌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1) 신식와질토기의 형태적인 변화는 전단계 조합우각형파수부호(소뿔모양의 손잡이를 따로 붙인 토기)에서 손잡이가 사라지고 받침(대부)이 생긴 대부광구호로 변했다가 위로 넓게 벌어진 아가리가 일자형태의 대부직구호로 변하고 점차 목이 짧아져 단경호 순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 중에서 김해지역의 신식와질토기는 대부직구호 단계가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아마도 빠른 도질토기 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2) 덧붙여 울산지역은 고식와질토기와 신식와질토기 사이에 문화적인 단절이 있었다고 볼 여지가 있는데, 이는 외부 집단의 정착을 상상하게 합니다. 이 시기 울산지역 고분군이 경주를 압도하고 경주지역에 석씨 계열의 고분군이 구전되지 않는 것을 통해 석탈해 집단이 울산지방에 정착했을 것이라는 가설도 있지요.(3) 김해 특이적인 외절구연고배의 전신이 되는 고배도 신식와질토기 단계에서 등장하며 점차 영남 공통 양식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발전의 길을 걷게 됩니다.(4) 마침내 신식와질토기 단계를 종료하고 도질토기 단계가 3세기 후반 대성동 29호분 시기부터 시작됩니다. 이로써 구야국(가락국)이 주변 지역보다 앞서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