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4) - 배이강Peiligang 문화

 Peiligang culture는 하남성 정저우鄭州시 신정新鄭에서 발굴된 유적을 중심으로 하는 신석기 문화로 황하의 지류인 지아루강賈汝河 서쪽에서부터 하남성과 산서성의 서쪽 경계에 해당하는 푸뉴산伏牛山을 경계로 합니다. 다른 중요 발굴 장소로 같은 정저우시의 Tanghu唐戶, 하남성 뤄양洛陽시의 Shuiquan水泉과 함께 특별히 아래에 부가해서 기술할 뤄허漯河시의 Jiahu賈湖 유적이 있습니다.


Peiligang culture는 주변 문화와 차별화된 관罐이라고 불리는 깊은 항아리와, 세발 다리를 가진 솥鼎으로 대표되는 토기를 생산한 집단으로 역시 수렵 채집을 주로 하였다고 보입니다. Cishan culture에서 영향을 받아 기장을 재배하였으며, 개, 돼지, 닭을 비롯하여 소나 양도 길렀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사육된 가축보다는 사슴 사냥이 단백질 섭취에 더 중요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Cishan culture나 다음에 다룰 Laoguantai culture와 달리 Peiligang culture 영역권에서는 다수의 분묘 유적이 출토되어 당시 사회상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Peiligang culture에서는 하나의 무덤에 한명만 매장하는 개인장이 이루어졌습니다. 맷돌이나 반죽용 홍두깨가 부장되는 무덤과 삽이나 도끼가 부장되는 무덤으로 확연히 구별되고 있는데 이는 부장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남녀 무덤이 나란히 조성되는 것을 미루어 일부일처제로 생각되며, 어린 남성이 성인 여성과 함께 부장된 무덤 증거를 토대로 모계 사회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무덤의 조성 위치나 부장품의 정도 등에서 사회 계층 분화의 흔적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Jiahu 유적

Jiahu 유적은 Peiligang culture에서 가장 잘 연구된 대표적인 유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활 양식이나 매장 의례 등에서 이질적인 면모를 드러내기에 Peiligang culture와 동시기에 존재했던 Jiahu culture로 불러주어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 여러 논문에서도 특별히 부가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무덤에 한명만 매장한 Peiligang culture와 달리 Jiahu 유적에서는 복수의 시신을 하나의 무덤에 안치하는 형태가 나타납니다. 무덤의 크기나 부장품의 양에서 서로 다른 위계가 나타나고 있어 평등 사회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부장품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어 부나 계급의 불평등이 벌써부터 등장하였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아마도 생전의 정치적인 입지나 특별한 능력으로 획득한 지위가 부장품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덤의 크기 차이는 후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듭니다만 부장품의 양적 차이는 점차 심화되며 무덤의 위치도 묘지의 중앙부에 조성되는 양상이 나타납니다. 연령이나 위계에 따른 부장품 정도의 차이보다 남녀의 부장품 차이가 월등히 커서 남성의 권한이나 권력이 상당히 강해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마을간의 인구 이동이 꽤나 빈번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이동은 거의 전적으로 여성들이 대상이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는 Jiahu 지역은 족외혼을 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경제활동에서도 기장은 거의 재배하지 않고 쌀을 재배하였으며, 거북이 등껍질을 매장하고 개를 희생하는 제의가 있었던 것도 Jiahu 유적의 독특한 면입니다.

Jiahu 유적은 북쪽의 황하와 남쪽의 양쯔강에 존재한 문화가 서로 오고가는 중간 경로였을 것이며, 덕택에 독특한 사회/문화적인 양식을 발전시켜 나간 것으로 생각됩니다. 양쯔강 아래에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벼농사는 Jiahu 지역을 통해 황하 상류의 Laoguantai culture에 전달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마찬가지로 벼농사의 흔적이 나타나는 황하 하류의 Houli culture와 함께 한반도에 전래된 벼농사의 근원 역시 Jiahu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DJ Cohen (2011) - The beginings of agriculture in China, Curr Anthropol 52.
Z Chi and H-C Hung (2013) - Jiahu 1: earlest farmers beyond the Yangtze river, Antiquity 87.
Z Yanping (2013) - The Early Neolithic in the central Yellow river valley, c.7000?4000 bc,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Z Juzhong and C Qilong (2013) - The Jiahu sited in the Huai river area,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22) : 신라의 낙동강 하류 공략

고대 해수면 변화 (뒤늦게 조선란티스 열차에 탑승하다.)

고대 해수면 변화 3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