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18) : 포상팔국의 난 (2) - 시기의 문제
포상팔국의 난이 삼국사기 대로 3세기 초가 아니라면 어느 시기로 비정할수 있을까요? (물론 3세기 초 기년을 그대로 인정하시는분들도 꽤 많습니다.) 이에 대해서 크게 김해세력이 성장하기 이전에 포상팔국의 난이 일어났다고 여기고 포상팔국의 난 결과 김해가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생각하는 측과 김해가 몰락했기 때문에 포상팔국의 난이 일어났고 이를 신라가 구원하고 이에 대해 가야가 인질을 보내면서 영남권에서 신라의 우위가 결정적으로 드러났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물론 이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요.
삼국사기 기년을 마음대로 갖다 붙일 수는 없으므로 각 연구자들이 나름의 수정 기준을 가지고 연대를 조정하게 되는데, 대체로 현재까지 밝혀진 고고학자료를 활용하거나 삼국사기 내의 계보도를 신뢰하였을 때 세대 차이를 약 25~30년으로 생각하고 재조정한 후 그 연대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에 3세기 후반/4세기초 발발설은 그 시기에 등장하는 고고학적인 변화-고식도질토기의 출현과 대형목곽묘의 등장-가 포상팔국 전쟁과 연결고리가 있다고 주장합니다.(1-3) 이는 내해이사금조의 기사를 이주갑 인하하는 것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포상팔국의 난 결과 기존의 남해안 지역 군소 국가들이 몰락하여 김해가 변한 지역에서 독보적인 정치체로 성장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반면 5세기 이후 발발설은 3세기중반 위지 동이전에서 김해가 다른 지역에 비해 대국임을 알 수 있고 3-4세기에는 비약적으로 발전해 압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으며, 고고학적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었음을 지적합니다. 특히 삼국유사에서는 일차적으로 포상팔국이 패퇴한 다음 3국이 다시금 신라를 공격하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어 포상팔국이 상당한 국력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5세기 이후가 더 타당하다는 입장입니다.(4,5)
이와는 별도로 내해이사금을 비롯한 인물들의 생존연대가 4세기 중반임을 논증하고 그러므로 4세기 중반에 포상팔국의 난이 일어났음을 주장하는 논문도 있습니다.(6) 앞서의 3/4세기 발발설에서는 포상팔국의 난의 수혜자가 김해세력이고 포상팔국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는 반면 이 논문에서는 김해 역시 피해를 입은 것은 분명하므로 고구려의 남정 이전에 이미 경주가 김해에 비해 앞서나가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발발 시기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에 덧붙여 어떤 이유로 전쟁이 일어났는지, 전쟁 대상은 누구인지, 전쟁의 결과로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다양한 설이 난립하고 있습니다.
1. 김태식(1994), “전기가야연맹의해체”, ‘역사비평’, 28, 343-353.
2. 남재우(2005), “골포국의형성과 발전”, ‘역사와 경계’, 54, 131-158.
3. 백승옥(1997), “고성고자국의 형성과 변천”, ‘한국고대사연구’, 11, 163-194.
4. 선석열(1997), “포상팔국의아라국 침입에 대한 고찰 -6세기 중엽 남부가야제국의 동향과 관련하여-”,‘가야문화’, 14,47-91.
5. 허재혁(1997), “5세기대남부가야의 세력재편 –포상팔국 전쟁과 고구려군 남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6. 허남팔(2015), “포상팔국의난 발생 시기와 성격 -4세기 중반 설을 제기하며-“,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