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10) : 구야국의 몰락-2
고구려군의 진격과 종발성 가야의 역사는 기록이 없는 부분은 없는대로 문제지만 기록이 있는 부분은 있는대로 여러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실감하면서 많은 연구진들의 고뇌도 함께 이해되고 있습니다. 앞서 보여드린 광개토대왕비의 경자년조 구절을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구절 구절마다 이설이 존재하는데 남거성에서 신라성 사이에 왜가 가득차 있었다고 해석하는 경우와 남거성을 거쳐서 신라성에 이르니 그 곳에 왜가 가득 차 있었다고 해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남거성의 위치를 알면 해석에 도움이 되겠으나 합의가 된 부분은 신라성이 경주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점 밖에 없지요. 왜군이 퇴각하는 것을 쫓아 종발성에 이르렀으니 그 공세의 종말점에 종발성이 자리할텐데 이 곳이 경남 김해라고 보는 견해와 경북 고령으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는 가락국을 가라로 부를 수 있지만, 대가야도 스스로를 가라로 김해를 남가라로 지칭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소수설인 고령설의 근거를 말씀드리자면 고구려군이 뒤(=퇴각로)를 끊었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에 동쪽이나 남쪽으로 도망가지는 못할테니 피할 곳은 서쪽 밖에 없으며, 김해라고 본다면 앞서는 군사적으로 싸우다가 고구려군이 도착하자 스스로 귀부하고 이를 고구려가 받아들이는 것이 부자연스럽고, 이후 대가야가 괄목적으로 성장하므로 이때의 귀부가 도움이 되었을 것 등을 말하고 있습니다.(2,3) 개인적으로는 다른 것은 인정할 수 있어도 고구려 침공 시기에 고령이 스스로를 가라로 자칭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수설인 김해의 근거에 대해서는 굳이 열거할 이유도 없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 더 나아가 종발성을 성 이름으로 보는 경우와 '성을 공격함에 따라'로 해석을 해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종발성을 성 이름으로 본다면 수도를 가리키는 것인지 변경의 성 이름을 가리키는 것인지도 견해차가 있습니다. 또한 임나가라를 임나가라 그대로 받아들일지, 임나+가라로 받아들일지, 그렇다면 임나는 어디이고 가라는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