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15의 게시물 표시

책소개 :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대 선배님(?)의 세컨(?)으로 의심되는 분이 왔다 간 것 같은데 그 분 덕분에 사게 된 책이 다 마음에 드네요. ㅎㅎ 그 중 하나인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로타 폰 팔켄하우젠 저, 심재훈 역, 세창출판사-의 서론 일부를 좀 올려봅니다. 대선배(?)님께서 보실 수는 없다는 게 좀 안타깝지만... 모든 고고학 일반과 마찬가지로 중국 고고학은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모두에 걸친 분야이다. 이 책은 사회과학적 측면을 강조하여 후기 청동기시대 중국의 사회 구조와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들을 재검토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제에 대해 출토자료들은 어떤 종류의 지식을 전해줄 수 있을까? 만약 고고학만이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정보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훨씬 양질의 정보들을 더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이를 위해 새로운 고고학 자료와 고대 중국의 풍부하고 존중받는 문헌 전통 사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명백한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한층 나은 신선한 정보들이 확실히 요망된다. 예를 들어, 공자 생시(기원전 551?~479?) 중국 사회 제도적 기초의 기원과 관련된 전래문헌 기록과 새로운 고고학 증거들 사이의 두드러진 모순에 대해 살펴보자. 공자와 그 제자들은 자신들 시대 정치, 종교적 체계의 저변에 있는 원리들이 당시까지 지속되던 주周 왕조(기원전 1046-256년경) 초창기에 고안된 것으로 믿었다. 그들은 왕조의 창시자들인 문왕과 무왕, 주공, 소공을 모든 시대에 모범이 되는 선한 통치와 올바른 행위의 준칙을 세운 문화적 영웅으로 간주했다. 무왕의 아우이자 조언자이며 공자의 모국인 노나라 공실의 개조인 주공이 그들의 최고 역할모델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주周의 예제를 만든 것으로 신뢰되었다. 그러한 예제는 등급화된 계급제도 내에서 모든 사회성원들에게 자신들의 적절한 지위를 부여해주었고, 그 사회 자체의 지속적 정당성을 보장하는 종교의식이 수행될 때 각자의 역할...

신화와 역사 사이 (하나라와 상나라를 중심으로)

  엊그제 대선배님(?)의 고고학 관련 떡밥 때문에 발견하게 된 논문인데 한 단락이 마음에 들어 번역해 봅니다. Li Liu and Hong Xu (2007) - Rethinking Erlitou: legend, history and Chinese archaeology,  Antiquity  81 , pp 886-901. 신화 ,  전설 ,  역사 ,  그리고 고고학   상나라 임금의 이름이 적힌 가장 초기의 기록은 하남성 안양시에 있었던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인 은허 ( 약 기원전  1300-1046 년 ) 에서 발굴된 갑골 명문 ( 銘文 )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하지만 이 명문은 하나라나 상나라의 연대에 대해서 아무 이야기도 해 주지 않았다 .  하나라와 상나라의 연대기는 그 이후에 여러 고대 문서에서 등장하는데 ,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바로 고본 죽서기년으로 기원전  3 세기 경에 문서화 되었으며 서기  280 년에 발견되었고 ,  사마천이 일찌기 기원전  1 세기에 그 존재를 기록한 바 있다 .  이것은 진서이지만 ,  이미 상나라가 멸망한 지  700  년 후에나 기록된 물건이다 . 1920 년대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 명문 연구로 , Wang Guowei 는 그 명문에 기록된 임금을 서기에 적힌 상나라 연대기의 임금 목록에 대응시킬 수 있었다 .  그는 서기에 기록된 상나라 연대기가 신뢰할 만 하므로 ,  마찬가지로 동일한 문헌에 기록된 하나라의 연대기 역시 믿을 만 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  이 견해는 중국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에게 주류설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  고고학자들은 하나라 사람들과 하 왕조가 남긴 문화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믿게 되있고 ,  이 고고학적인 결과물을 역사 기록과 엮어 과거사를 재구성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