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대 선배님(?)의 세컨(?)으로 의심되는 분이 왔다 간 것 같은데 그 분 덕분에 사게 된 책이 다 마음에 드네요. ㅎㅎ 그 중 하나인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로타 폰 팔켄하우젠 저, 심재훈 역, 세창출판사-의 서론 일부를 좀 올려봅니다. 대선배(?)님께서 보실 수는 없다는 게 좀 안타깝지만... 모든 고고학 일반과 마찬가지로 중국 고고학은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모두에 걸친 분야이다. 이 책은 사회과학적 측면을 강조하여 후기 청동기시대 중국의 사회 구조와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들을 재검토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제에 대해 출토자료들은 어떤 종류의 지식을 전해줄 수 있을까? 만약 고고학만이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정보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훨씬 양질의 정보들을 더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이를 위해 새로운 고고학 자료와 고대 중국의 풍부하고 존중받는 문헌 전통 사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명백한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한층 나은 신선한 정보들이 확실히 요망된다. 예를 들어, 공자 생시(기원전 551?~479?) 중국 사회 제도적 기초의 기원과 관련된 전래문헌 기록과 새로운 고고학 증거들 사이의 두드러진 모순에 대해 살펴보자. 공자와 그 제자들은 자신들 시대 정치, 종교적 체계의 저변에 있는 원리들이 당시까지 지속되던 주周 왕조(기원전 1046-256년경) 초창기에 고안된 것으로 믿었다. 그들은 왕조의 창시자들인 문왕과 무왕, 주공, 소공을 모든 시대에 모범이 되는 선한 통치와 올바른 행위의 준칙을 세운 문화적 영웅으로 간주했다. 무왕의 아우이자 조언자이며 공자의 모국인 노나라 공실의 개조인 주공이 그들의 최고 역할모델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주周의 예제를 만든 것으로 신뢰되었다. 그러한 예제는 등급화된 계급제도 내에서 모든 사회성원들에게 자신들의 적절한 지위를 부여해주었고, 그 사회 자체의 지속적 정당성을 보장하는 종교의식이 수행될 때 각자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