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15의 게시물 표시

청동기 시대 인도-유럽어 확산에 대한 최신 분자유전학 연구 (하-2) (完)

이미지
  원 논문은 정말 분자유전학 논문이지만 supporting information에서 다룬 고고학적인 내용만 번역해서 올립니다. 분자유전학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실까봐 부연설명 합니다. ME Allentoft  et al . (2015) -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Nature . 1.5 Abashevo/Sintashta (2100-1800 BC), Andronovo (1700- 1500 BC), Karasuk (1400-900 BC), and Mezhovskaya Culture (1300-800/700 BC). Sintashta 문화는 우랄 너머에 존재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청동기 문화로 완전히 발달된 전차를 사용했다. 기원전 2100 년에서 2000 년 경으로 보이는 이 지역의 정착지는 매우 정비된 요새 구조로 감싸여 있으며 정형화 된 집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새로운 정착지는 구리 광산에 가까이에 위치해 있고, 채광과 제련이 중요한 산업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유목 경제 체제였다. 전사와 전차수의 시신은 종종 봉분 아래의 수혈 갱도에 두 마리 말과 바퀴 두개를 가진 전차와 함께 매장되었다. 우랄산맥 서쪽의 동유럽 초원-숲 경계 지역까지 뻗어나간 유사 문화인 Abashevo 문화 역시 전차를 잘 사용했다. (논문 본문에서) 기원전 2100 년에서 기원전 1800년 사이 초기 전차 사용을 확인할 수 있는 지역을 검은 점으로 표시해 두었는데 각각의 점은 비슷한 형태의 고삐를 가진 전차가 무덤에 부장되어 있는 유적지를 나타낸 것이다. 엘리트 전사들이 중부 유럽의 동쪽 지역에서 우랄 산맥 남쪽-서쪽 지역으로 진출했을 것이며, 미케네와 아나톨리아 히타이트 방면으로도 나아갔을 것이다. 전차를 만드는 장인 계층, 말을 사육하고 육종하는 계층, 새로운 무기를 만들고 그 사용법을 가르치는 계층이 등장했을 것이다. 이런 기술 집단의 구조는 복잡하기 때문에 이 기술을 온전히 이식...

청동기 시대 인도-유럽어 확산에 대한 최신 분자유전학 연구 (하-1)

  원 논문은 정말 분자유전학 논문이지만 supporting information에서 다룬 고고학적인 내용만 번역해서 올립니다. 분자유전학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실까봐 부연설명 합니다.     ME Allentoft  et al . (2015) -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Nature . 1.1 청동기 - 개시   기원전 약 3천년 경 메소포타미아에서 도시와 국가의 등장으로부터 청동기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지만 몇몇 고대 도시들은 이미 기원전 4천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로부터 앞선 구리 합급은(청동을 포함한) 농기구, 무기, 장신구, 조리용 혹은 음식용 식기세트에 이르기까지 경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이처럼 구리에 대한 수요는 매우 높았지만 메소포타미아 주변에서는 이 금속을 전혀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수요를 코카서스, 이후로는 오만에서 채취한 것을 교역을 통해 충당했다. 아나톨리아와 코카서스의 구리 광산에 대한 탐사는 기원전 4천년대 초, 중반에 이미 시작되어서, Uruk 이동이라고 알려진 메소포타미아로부터 이동한 이민자 집단이 이미 북쪽 지역에 정착해서 새로운 교역 루트를 만들어, 메소포타미아 중심부로 흘러들어가는 구리, 금, 은의 흐름을 확보하고 있었다. 아래에서 언급하는 시기는 대강의 것으로 각각의 문화에 대한 정확한 시점은 앞으로 좀 더 논의되어야 한다.     1.2 Maikop and Late Tripolje (3700-3000 BC), Yamnaya (3000-2400 BC), and Remedello 1 (3400-2800 BC) cultures   이 이주민들의 사업 결과 메소포타미아로부터 위세품이 코카서스 지역으로 흘러들어왔다. 이에 기원전 4000년 대 중, 후반, 북 코카서스 지방에서 Maikop 문화에 해당하는 수장층 고분군에서 다량의 부장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