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시대 인도-유럽어 확산에 대한 최신 분자유전학 연구 (중)
W Haak et al. (2015) -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Nature 언어 확산에 대해 추론시 유전학 데이타 사용의 위험성 인도-유럽어의 기원과 확산 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지금껏 논란거리였는데 이는 원 인도 유럽어의 고향이라는 개념이 이데올로기적 목적에 의해 오용되어온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20세기 초 Gustav Kossinna는 'settlement archaeology (정착지 고고학)'이라는 것을 제안했는데,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물질 문화-특히 Corded Ware 문화는 동질적인 언어-여기서는 원 인도-유럽어를 공유하는 유전적으로 잘 정의된 민족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데이타는 Corded Ware 문화가 중부 유럽의 재지 주민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동쪽으로부터 이주한 이주민의 유산이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Kossinna의 이론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V. Gordon Childe는 후에 Otto Schrader에 의해 언어학적으로 비판받긴 했지만 초원에서 유럽으로의 이주가 있었다는 가설을 제안함으로써 우리의 연구 결과와 거의 근접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제 2차 세계 대전 후, 특히 1960년대에서 70년대 사이, 고고학자들은 고고학을 잘못 사용했던 전례를 일소하기 위해 이주민에 의한 재지 주민의 소멸이나 정착지 고고학과 같은 개념을 모조리 폐기하였다. 이에 실제로 고고학과 언어학, 그리고 유전적인 집단 사이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거의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고고학 학계의 기류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물질 문화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들이 제안한 이주 모델에 의해 끊임없이 도전받았고, 그 덕분에 30년 전에 비해서 인류의 이주가 고고학자 사이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농경 문화의 확장과 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