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5의 게시물 표시

충주(중원) 고구려비 건립 시기에 대해서.

  충주의 중원고구려비는 잘 아시다시피 고구려의 한반도 중부 이남 진출을 보여주는 지표이자, 고구려와 신라 사이의 관계를 드러내주는 금석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랜기간 비바람을 맞아 마모가 심해 판독할 수 있는 글자는 전체의 1/3도 채 되지 않는 것이 아쉬운 일이긴 합니다만 원체 기록이 부족한 고대사를 채워줄 소중한 존재임은 분명하리라 봅니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금석문이 실상은 언제 건립된 것인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 또한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그나마 판독가능한 十二月卄三(五?)日甲寅이라는 간지를 기준으로 12월 23일 갑인을 채택하면 449년(장수왕 37년, 눌지왕 33년) 480년(장수왕 68년, 소지왕 2년) 506년(문자왕 15년, 지증왕 7년) 건립을 생각할 수 있겠고 12월 25일 갑인을 채택하면 403년(광개토왕 13년, 실성왕 2년) 470년(장수왕 58년, 자비왕 13년) 496년(문자왕 5년, 소지왕 18년)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1) 이후 비문의 판독은 각 연구자들이 정황논리에 따라 건립 시기를 비정하는 시기를 먼저 정하고 그에 맞는 논리를 만들어내는 느낌이 강합니다. 예를 들어 高麗太王祖王의 경우 문자명왕 건립설을 지지하는 쪽에서는 문자명왕과 장수왕의 관계를 직접 드러내는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지만 장수왕 건립설을 지지하는 쪽에서는 선대왕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반론하고 있습니다. 비문에 나오는 太子에 대한 해석에서도 입장을 달리하는데, 장수왕의 적자인 조다는 일찍 죽었고, 장수왕대에 태자책봉 기사가 없는 것을 가리켜 장수왕으로 볼 수 없다는 문자명왕파의 논리에 대해 장수왕 지지파는 다른 왕자를 태자로 높였을 것이라는 논리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반대로 장수왕 지지파(중 450년 이전 건립설)의 경우 장수왕 말기부터 신라가 고구려에 적대하는 기사가 발생하고 있는데 고구려비의 건립 목적이 친선임이 분명하며 고구려가 신라보다 우위에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어떻게 그 후대에 건립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느냐로 공격하면 ...

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13) : 대가야의 확장과 리즈시절

이미지
  앞서 언급했다시피 신라가 이미 확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의 대가야가 북쪽의 성주 방향과 동쪽의 대구 방향으로 진출할 수는 없었 습니다. 마찬가지로 낙동강 수계의 하류 방향으로는 창녕의 교동/송현동 고분군 세력(비화가야)이 독자적으로 발달하고 있었습니다. 이 에 대가야 세력은 필연적으로 남서쪽 방향으로 확장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본래 경남 서부와 호남 동부에는 4세기 이전에는 대형 고분군도 등장하지 않고, 위세품도 빈약해 정치체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 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토광묘나 옹관묘와 같은 과거의 묘제나 삼각점토대토기가 오랜 기간 남아 있는 등 발전 양상이 주변에 비해 뒤 처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1) 따라서 정치체 발전이 미약한 경남 서부와 호남 동부지역으로 쉽게 대가야 양식이 확장되거나  대가야의 정치력이 침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가야 유물이 전북 부안, 전남 순천, 경남 창원, 경북 구미에 이르기까지 널 리 분포하는 것을 통해서 대가야의 영향권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2) 대가야 유물의 출토 지역 대가야의 성장은 중국 측 기록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79년 남제에 가라국 국왕 하지가 조공 사절을 보낸 것입니다. 이 가라의 주 체에 대해서 김해 구야국이나 함안 아라국으로 파악하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당대에 쇠퇴하고 있던 김해나 함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 던 함안보다는 급속도로 발전하던 고령으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3) 내륙에 위치한 고령이 중국에 조공할 수 있었던 것 은 백제의 지원에 힘입었을 수도 있으나 막 수도를 상실하고 쫓겨 내려온 백제가 그런 정신이 있었을지 의문이며, 백제와 공동으로 조 공한 것이 아닌 대가야의 단독 조공이므로 독자적인 루트로 조공에 성공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도 중국과 교섭에 익숙한 영산강의  마한 세력이나 앞으로 대가야의 영향권에 들어오는 섬진강길을 따라 조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가야의 성장에 따라 고령지역의 고분의 크기는 점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