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16의 게시물 표시

Homo sapiens의 단계통/다계통 논의 보론補論 (+ 약간의 학회 후기)

이미지
  지금까지 올라온 모든 후기에서 제 설명이 이해할 수 없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으므로 저의 발표가 실패라는 사실은 증명되었습니다. 귀한 시간을 빼서 오신 분들의 기력과 시간, 자본을 날려 먹은 것에 대해 반성하고자 미미한 A/S를 하고자 합니다. 인간이 세계를 분절적으로 인식하고, 잡다한 것을 분류작업을 통해 나열하고 묶어두려는 행동양식이 있다는 것은 여러분도 스스로 느끼시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매우 자연스럽게 생물의 외형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그 외형적인 특징, 소리, 색, 모습에 근거하여  저마다 다른 이름을 부여받았을 것입니다. (아니면 어느 누군가가 지어줬든지요...) 자연적이고 관습적인 분류는  스웨덴 출신의 학자 린네에 의해서 체계화 되기 시작합니다. 린네는 생물의 분류를 통해 어떤 식으로 '주님'의 창조가 이루어졌는지 잘 알게 되리라 생각했습니다. 린네가 분류작업을 시작할 즈음 해부학과 같은 학문의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었으나 아직은 직관적인 인상에 의존해야만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원숭이와 유인원과 같은 그룹으로 묶을 수 있을 정도로 린네는 이들 사이에서 얼굴, 손, 팔에 있는 유사한 특성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특히나 나무늘보도 같은 집단으로 묶었다는 것을 보면 말이죠.) 마찬가지로 인간은  각 지역에 따라 얼굴의 형태도 다르고 피부색도 다르지만 하나의 종으로 분류가 되었습니다. 형태나 생활상, 습성이 별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겠죠. 각지의 창조설화에서 인류가 하나의 거푸집에서 태어났다는 발상을 공유하는 것도 직관적으로 보았을 때 사람은 서로 같은 족속이라는 것을 선험적으로 알았기 때문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나 이런 외형적인 인상에 기반한 분류는 여러 오류를 내포할 수 있게 되는데 자연에는 수렴진화라고 하는 것이 있어 전혀 관련이 없는 두 집단이 진화의 결과 형태상 유사한 생김새를 가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선인장과 대극과 다육식물, 아르마딜로와 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