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에도 관심을 - 가야연구 맛보기 (19) : 포상팔국의 난 (3) - 대상과 목적
포상팔국의 난이 일어난 시기과 목적에 대해서 다양한 학설이 있음은 아래의 표에서 가늠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장혜금(2015) - 사물국의 성립과 변천. 혼란한 기록 양상을 절묘하게 만족시켜줄 이론이 있지 않으므로 각 가설이 설명하는 포상팔국의 난의 양상과 전쟁 목적에 대한 장단점을 간략하게 언급하겠습니다. 3세기 전반설 신라본기 내해이사금의 기년을 그대로 인정하는 입장입니다. 기년수정을 하지 않는 것은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3세기 전반의 요동 공손씨 세력에 의해 성립된 낙랑군/대방군의 세력 조정에 의해서 한반도 남부의 세력 균형이 크게 흔들린 것을 원인으로 보며 동시기 한강유역의 신분고국이 한사군과 충돌하고 몰락한 반면 백제가 두각을 나타나게 된 것처럼 포상팔국의 난과 그 실패로 포상팔국이 몰락하고 김해가 두각을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변화는 기존의 사천 늑도 세력이 이 시기에 쇠퇴하고 김해가 본격적으로 발달하게 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김해를 구원해야 할 경주의 세력이 고고학적으로 미미할 단계이고, 등장하는 포상팔국의 국명이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등장하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물론 기록된 전쟁 양상이 과장되었거나 포상팔국이 아예 몰락해버려 기록 시기에 이미 나라가 사라져버렸을 수는 있습니다. 3세기 후반설~4세기 초반설 기록을 1갑자 혹은 2갑자 내려서 해석하는 입장입니다. 삼국의 초기 기록이 일본서기처럼 연대를 끌어올려 기록되었을 수 있다는 생각은 자연스러우며 보정결과 영남의 고고학적 발전 양상과 맞출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김태식을 비롯하여 꽤 많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시기이지만 그만큼 전쟁의 목적이나 양상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가설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공격받은 국가가 함안의 아라가야인지, 김해의 금관가야인지, 둘 다인지에 대해서 학설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포상팔국 안에 함안이 포함되는지 아닌지 역시 학설이 나뉘는 부분입니다. 전쟁의 촉발 원인은 3세기 전반설과 마찬가지로 한사군의 쇠퇴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