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에서의 팍바 문자의 영향과 관련해서
송기중 (2009) - "팍바('Phags-pa 八思巴) 문자와 訓民正音", '국어학' 54집, 17-74 논문 결론 부분만 일부 전재합니다. 직접 전문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1) 기원전 고대인도 음성학자들이 관찰ㆍ설명한 자음 분류체계의 전 통은 데바나가리-티베트문자-팍바문자에 계승되었다. 중국 전통의 성 모체계에서 四聲과 五音 중 牙ㆍ舌ㆍ脣 3계열의 분류 방식 및 배열 순 서는 인도 전통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齒音과 喉音에서 인도 전통과 현격히 다르다. 훈민정음의 초성체계는 중국의 성모체계를 모형 으로 삼아 창제된 것이다. (2) 어두자음(초성)과 어말자음(종성)을 같은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 은 인도문자에서부터 팍바문자까지 동일하고, 훈민정음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훈민정음의 규정이 팍바자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다만 두 문자 체계상 공통점의 한 가지로 지적하는 것이다. (3) 동아시아 문자사에서 모음을 부가기호로 표시하지 않고 매 모음 음소마다 독립된 자모를 만들어 표기한 것은 팍바문자가 처음이고, 훈 민정음이 두 번째이다. (4) 자음의 경우와 같이, 발성 부위의 순서에 따르는 기본모음의 순 서 a-i-u 는 인도음성학에서 유래하여 티베트문자와 팍바문자에 반영되 어 있다. 훈민정음 중성체계에서 기본자를 ‘ㆍ ㅣ ㅡ’로 정한 것은 인도 음성학에서 유래하는 기본 3모음과 순서와 같은 개념에서 유래한 것으 로 보인다. 즉, 가장 먼저 후두의 협착으로 조음되는 [ㆍ], 다음 혀의 상 승으로 조음되는 [ㅣ], 위-아래 이(齒)의 접근으로 이루어지는 [ㅡ]의 순서이다 * 아래는 제가 별도로 덧붙이는 내용입니다. 덧붙여 데바나가리/팍파의 전통을 따라갔다면 영어의 j나 w에 대응되는 반자음을 채택했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이 [ㅑ,ㅕ,ㅛ,ㅠ], [ㅘ,ㅝ,ㅚ,ㅟ]에서 볼 수 있듯이 반모음으로 분류하고 있어 또한 팍파의 전통과 결을 달리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